철학적 감상 2

감상의 철학: 우리는 왜 아름다움 앞에 멈추는가?

아름다움에 끌리는 인간의 마음 (철학적·심리적 의미)어느 날 문득 노을 진 하늘을 바라보며 발길을 멈춰본 적 있으신가요? 눈부신 석양이나 감동적인 음악 앞에서 우리는 저도 모르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들곤 합니다. 철학자 칸트는 인간이 아름다움 그 자체에서 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아름다운 대상을 앞에 두고 오래 머문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해 아무런 실용적 이득이 없어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순간 우리는 그 순간의 기쁨에 사로잡혀 머물게 된다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 볼 때도 이러한 미적 감동은 우리의 감정을 풍요롭게 하고 삶에 활력을 줍니다. 실제로 현대 심리학에서는 예술이나 자연 속에서 느끼는 깊은 감정(때로는 ‘경이로움’이라고 부릅니다)이 스트레스 완화와 행복감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합니다. 인간..

카테고리 없음 2025.03.22

우리는 무엇을 할 때 '감상'한다고 말하는가

조선 시대 화가 김홍도의 《서화 감상》은 여러 선비들이 함께 그림을 바라보며 감상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감상은 전통적으로 예술 작품을 보며 즐기고 심취하는 심미적 경험으로 여겨졌다. 한국어 감상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데, 하나는 예술 작품 등을 **감상(鑑賞)**하여 즐기고 이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슬프거나 쓸쓸한 정서를 느끼는 **감상(感傷)**적 상태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감상이라 하면 음악, 미술, 문학 작품 등을 느끼고 이해하며 즐기는 일련의 과정을 가리킨다. 이 과정에는 작품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주관적 평가를 내리고, 그렇게 얻은 감흥을 내면화하는 단계까지 포함되기에 감상은 단순히 보는 것에 그치지 않는 복합적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카테고리 없음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