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화가 김홍도의 《서화 감상》은 여러 선비들이 함께 그림을 바라보며 감상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감상은 전통적으로 예술 작품을 보며 즐기고 심취하는 심미적 경험으로 여겨졌다. 한국어 감상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데, 하나는 예술 작품 등을 **감상(鑑賞)**하여 즐기고 이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슬프거나 쓸쓸한 정서를 느끼는 **감상(感傷)**적 상태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감상이라 하면 음악, 미술, 문학 작품 등을 느끼고 이해하며 즐기는 일련의 과정을 가리킨다. 이 과정에는 작품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주관적 평가를 내리고, 그렇게 얻은 감흥을 내면화하는 단계까지 포함되기에 감상은 단순히 보는 것에 그치지 않는 복합적 과정이다. 본고에서는..